우진산전이 개발한 '양문형 굴절버스'. (=자료사진) / 박장식 객원기자
우진산전이 개발한 '양문형 굴절버스'. (=자료사진) / 박장식 객원기자

[철도경제신문=장병극 기자] 국토부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가 사업 기간이 짧으면서, 경제성이 높은 간선급행버스체계(BRT)가 전국적으로 활성화될 수 있도록 지원에 나선다.

대광위는 27일 세종시에서 BRT 활성화를 위해 지방자치단체의 트램ㆍBRT 등 교통담당자를 대상으로 설명회를 연다.

이번 설명회는 지난 1월 25일 여섯번째 민생토론회에서 발표한 '교통분야 3대 혁신 전략'의 후속조치의 일환이다.

BRT는 간선급행버스법에 따라 전용주행로와 간선급행버스체계교차로, 정류소 등 시설과 전용차량을 갖춰 운영하는 교통체계다. 

설명회에선 대광위가 직접 BRT 사업에 대한 정책 방향성을 설명하고, 세종시와 인천교통공사에서 각 지역별 BRT 우수사례를 발표한다.

이를 통해 BRT 사업에 대한 지자체의 이해도를 높이고, 적극적으로 사업을 추진할 수 있는 계기를 제공하겠단 구상이다.

BRT는 가장 경제적으로 도시 교통망을 구축할 수 있는 수단이다. BRT 전용주행로 설치 이후에는 신속성ㆍ정시성이 최소 10% 이상 증가하는 등 효과가 있었다.

하지만 도시철도 등 다른 교통수단에 비해 사업 규모가 작고, 사업에 대한 인지도가 낮아 사업이 활성화되는데 한계가 있었다.

이에 대광위는 BRT 사업이 원활히 추진될 수 있도록, 재정지원을 확대해 나갈 예정이다. 이와 함께 지역별로 BRT 브랜드를 도입, 사업에 대한 인지도를 높여나갈 계획이다. 

오는 7월 착공해 내년 12월 개통할 예정인 제주 BRT는 시범사업으로 지정, 우선신호체계ㆍ섬식정류장ㆍ양문형 버스 등 신기술을 도입한다. 대광위는 이와 같은 특화형 사업을 지속적으로 발굴할 방침이다. 

제주BRT 시범사업 적용 기술. / 사진=국토부
제주BRT 시범사업 적용 기술. / 사진=국토부

또 전용형과 고급형(S-BRT)으로 사업 유형을 제시해,  지역 여건에 맞는 사업을 추진하게끔 가이드를 제공한다. S-BRT는 우선신호를 적용하고, BRT교차로를 설치하는 등 전용형 BRT에 비해 신속성과 정시성이 높다.

안석환 대광위 광역교통운영국장은 "앞으로도 지자체 협의 및 컨설팅을 통해 신규 BRT 사업을 발굴하고, 대도시권 내 대중교통 이용객 만족도를 높일 수 있도록 다양한 방안을 발굴하돌고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이와 함께 법 개정 등을 통해 개발ㆍ실시계획에 대한 수립ㆍ승인권자를 기존 국토부장관이나 시ㆍ도지사에서 시장ㆍ군수ㆍ구청장에 위임할 수 있도록 확대한다.

이를 통해 사업시행자의 주체적인 사업 추진 기반을 마련하고, 행정력을 절감해 신속하게 사업을 추진해 나갈 예정이다.

이번 설명회에서 우수사례로 공유할 세종 BRT는 세종시 행복도시 택지개발과 함께 교통 통행패턴을 분석하고, 도로계획 등을 면밀히 검토해 광역 3개, 도시 2개 등 5개 BRT 노선을 도입했다. 지난해 기준 하루 평균 2만 7000명이 이용하고 있다. 내년 7월에는 공주-세종 간 BRT도 추가로 개통할 예정이다.

인천 청라-강서(가양역) BRT는 상습 정체 발생 구역인 화곡-가양을 제외한 청라-화곡 구간으로 단축해 운영한다. 또 만차가 자주 발생하는 출근시간대 전세버스를 4대 투입, 이동시간을 20% 단축시키고, 도착예정시간 대비 20초 이내로 정시성을 확보했다.

안석환 대광위 광역교통운영국장은 "앞으로도 지자체 협의 및 컨설팅을 통해 신규 BRT 사업을 발굴하고, 대도시권 내 대중교통 이용객 만족도를 높일 수 있도록 다양한 방안을 발굴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철도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